일본의 글자 ‘가나’[仮名,がな]
① 가나의 기원
가나는 일본어를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진 고유 문자 체계입니다.
일본어로는 仮名(かな)**라고 하며, 두 종류가 있습니다.
ひらがな(平仮名, 히라가나)
カタカナ(片仮名, 가타카나)
‘가나’라는 이름은 한자를 真名(まな, 진짜 글자)라고 부른 데서 비롯되었습니다.
가나는 한자의 초서체나 일부 획에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仮名(임시 글자, 가짜 글자)라 불리게 된 것입니다.
처음에는 かりな(가리나)라고 불렸으나, 지금은 간단히 かな(가나)라고 부릅니다.
② 한자의 사용과 만요가나
일본은 고훈시대(古墳時代, 5세기 전후)부터 한자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초기 일본인들은 한자의 뜻보다는 발음을 빌려 일본어를 표기했는데, 이를 만요가나(万葉仮名)라고 합니다.
대표적인 예가 일본 최고(最古)의 시집 만요슈(万葉集, 8세기 후반~9세기 초)로, 이 안에 기록된 시들은 모두 만요가나로 적혀 있습니다.
이 시기에 이미 일본어 발음을 한자로 옮기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만요수(万葉集 まんようしゅう、まんにょうしゅう(고대식))
③ 히라가나와 가타카나의 성립
히라가나(ひらがな)
한자의 초서체에서 파생됨.
부드럽고 곡선적인 모양.
주로 여성들이 사용하여 ‘여자 글자(女手)’라고 불리기도 했습니다.
가타카나(カタカナ)
한자의 일부 획을 따서 단순화한 문자.
직선적이고 각진 모양.
승려들이 불경(佛經)에 주석을 달기 위해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9세기 무렵, 두 글자가 본격적으로 정착하여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④ 현대 가나 표기법의 특징
가나는 표음문자이며, 동시에 음절문자입니다.
원칙적으로 한 글자가 한 음절을 나타냅니다.
* 주요 예외
は → ha / wa (조사일 때)
へ → he / e (조사일 때)
お / を → 둘 다 [o]
じ / ぢ → [ji]
ず / づ → [zu]
* 발음 변이
が → [ga] / [ŋa]
ん → [m], [n], [ŋ]
先生(せんせい) → 마지막 い는 약하게 발음되며, 앞의 え가 길게 늘어나는 장음으로 발음.
⑤ 가나 학습의 포인트
가나는 일본어를 읽고 쓰는 데 기본이 되는 문자입니다.
언어를 잘 학습하기 위해서는 규칙을 외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예외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언어는 단순히 규칙으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오랜 역사와 문화 속에서 발전했기 때문입니다.
⑥ 추가로 알면 좋은 점
히라가나 → 가타카나 → 한자 순으로 학습을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현대 일본어에서 가타카나는 주로
외래어 (コンピュータ, テレビ)
의성어·의태어 (ドキドキ, キラキラ)
학명·전문 용어
강조 표현 등에 사용됩니다.
반면, 히라가나는 문법 요소(조사, 어미 변화)와 일상 단어에 폭넓게 쓰입니다.